알쏭달쏭한 콘셉트, 김탁구 빵
물론 <탁구왕 김제빵>, 아니 <제빵왕 김탁구>라는 드라마를 좋아해서 빵을 먹어보고 싶다고 생각한 건 아니었다. 늘 가는 병원 건물 1층에 파리 바게트가 있는데, 몹시 배가 고픈 채로 병원 문을 나서다가 가게 문에 붙여 놓은 광고 포스터를 봤고, 마침 단팥빵이 먹고 싶어서 샀다.
먼저, 배부른보리빵(1,000). 솔직히 전혀 배부르지 않다. 콘셉트나 이름이 배부른 빵이면 오히려 큰 덩어리이거나 밀도 높은 빵을 만들어야 하지 않았을까? 옥수수에서 나는 것으로 생각되는 달큰한 냄새는 좋은데, 드라마에서 얼핏 보았던 그, 사람을 채워주는 느낌이 나지 않는다. 옥수수는 아슬아슬한만큼 들어 있고, 보리는 먹은 기억이 없다.
막걸리로 발효했다는 봉빵(3개x1,200). 기본적으로 막걸리 발효에 대해서 탐탁치 않게 생각하는 건, 막걸리보다 거기에 들어 있는 아스파탐 때문이다. 그 맛을 싫어해서 요즘 같은 막걸리 열풍에 편승하려 마트를 뒤져봐도 마음에 드는 막걸리를 찾지 못했다. 마시고 또 빵 발효도 해 보고 싶구만… 뭐 그러거나 말거나, 이 봉단팥빵에서는 막걸리로 발효한 느낌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앙금의 식감이 괜찮고, 또 전체적으로 너무 달지 않다는 점에서는 좋은데, 보통 빵집에서 먹을 수 있는 단팥빵과의 차이가 뭔지는 잘 모르겠다.
대량생산하는 빵에는 그 나름의 미덕이 있을 것이므로, 한 덩어리에 4천원이 넘는 빵들과 비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폴x폴@나 같은 곳의 빵와 파리바게트의 그것을 비교할 생각도 없다(폴x폴@나의 빵이 아직도 그렇게 우위를 점하고 있느냐…? 라는 건 또 완전히 다른 문제겠지만). 그러나 지적하고 싶은 점이 두 가지 있다. 첫 번째는, 발효한 밀가루 자체의 식감이다. 두 빵 모두 빵의 조직 자체가 부드럽지 않고 푸석푸석한데, 입에 넣고 씹다 보면 금방 끈적끈적해지면서 일부가 치아에 달라붙었다. 그 두 가지를 한꺼번에 경험하는 건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닌데.. 어쨌든 밀가루의 맛이라는 건 느끼기 힘들었다.
빵의 콘셉트 또한 이해가 잘 가지 않았다. 드라마를 대강 보기는 했어도, 장항선이 가지고 있는 철학이라는 것이 밀가루로 만든 빵이 가지고 있는 푸짐함을 나누거나 뭐 그런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 이 두 빵은 너무 얌전하고 세련되고 깔끔하면서 조그맣다. 전혀 푸짐하지 않은 것이다. 파리바게트가 계속 이런 세련된 콘셉트를 만들고 유지하려 한다는 것도 알고 또 왜 그러는지도 대강 알겠는데, 이 빵은 다른 방법으로 접근했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물론 내가 그렇게 생각하거나 말거나 빵은 잘 팔리고 사람들도 좋아는 하겠지만. 빵맛? 그게 뭘까? 외국 음식이 이렇게 많이 들어와 있지만 ‘빵=간식’의 의식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외국의 상표가 아무리 많이 들어와도 제대로 된 맛의 빵을 접하기란 쉽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고기와 야채, 두부로 소를 만들고 같은 밀가루로 한 쪽은 만두피를 만들어 만두를 싸고, 또 다른 한 쪽은 밀가루를 발효시켜 ‘고로케’를 만들면 사람들은 만두는 끼니로, 고로케는 간식으로 먹겠지? 아, 개인의 식생활을 생각해 볼 때도 계속해서 빵=간식이라면 밥은 밥대로 빵은 빵대로 먹겠다는 이야긴데 그렇다면…
# by bluexmas | 2010/09/08 09:06 | Taste | 트랙백 | 덧글(13)
‘빵=간식’의 의식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외국의 상표가 아무리 많이 들어와도 제대로 된 맛의 빵을 접하기란 쉽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 말 매우 공감하고 가요. 빵은 저에게 주식과도 같은..
하지만 세대가 넘어가면 조금의 변화가 생기지 않을까요?
생각보다 싸네요 한 개에 1200원 할 줄 알았어요
일주일 안된채 헬스가는데 1층에 빠리바게뜨가 있어요.
빵 나오는 시간에 솔솔 올라오는 냄새 때문에
허기진 배를 움켜잡고 운동을 하면서 ‘집에 가면서 한번 들러볼까?’하는 생각을 했답니다.
살 빼긴 틀렸어요.이렇게 심지가 약해서…………
자영업 빵집에서도 ‘탁구빵’을 선전판매하는지 좀 살펴봐야겠습니다.
팥이 너무 많다는 생각도 들지만, 팥빵이라면 [윈 Wien]빵집의 청담동,분당 매장 빵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