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구정동에서 먹은 점심 두 끼
이 동네에서는 대체 뭘 먹어야 할지 아무런 생각이 없다. 비싼 게 문제가 아니라 비싼데 그 값을 못하는 것이 언제나 문제라는 건 또 말해봐야 입만 아프다. 그러던 와중에 이틀 연속으로 점심을 먹게 되었는데…
산동교자관
세 번을 찾아갔으나 결국 먹지 못했던 역삼동 산동교자관이랑 무슨 상관이 있는 줄 알았는데 아니라고. 부부가 운영을 하는데, 주인 아주머니 왈 “코드 안 맞는 사람이랑 일 하는 게 힘들어서 그냥 이 정도 규모로 혼자 하는 게 낫다.” 그래서 주방장인 남편이 만두도 다 빚고 요리도 다 하는 모양. 오향장육을 포함해서 요리의 종류가 그렇게 많지는 않은데, 단골되면 메뉴에 없는 요리도 해 줄 것 같은 분위기. 혼자 밥을 먹으러 갔으므로 볶음밥과 물만두를 시켰는데, 물만두(5,000)는 굉장히 꼼꼼하게 잘 만들어 예쁘게 생긴 애들이 나왔다. 물만두는 부들부들한 그 느낌을 좋아하는데 나에게는 딱 적당한 정도였다. 요즘 양꼬치집들에서 먹을 수 있는 것들보다는 머리 하나 정도 위에 있는 느낌이랄까?
볶음밥(6,000)은 계란(너무 익힌 듯…?)과 중국햄같은 것이 들어갔는데 간단하고 비교적 가벼운 느낌이었다. 밥은 조금 마른듯하고 약간 딱딱했는데 그게 아주 거슬리지는 않았고 기름에 쩐듯한 느낌은 없었다. 마지막에 채친 양상추를 더해 대조되는 바삭바삭함을 더해준 것이 좋았다. 어째 뭐든 야채가 같이 나오면 고마운 요즘?
둘 다 꼼꼼하게 잘 만들었다는 느낌은 주었지만 심심한 것이 옥의 티였는데 나중에 가게에 걸린 수료증(또는 증명서?)같은 것과 명함을 보니 대만 출신 화교인 것 같다 한편으로 그 심심함이 이해가 되었다. 전체적으로 심심한 맛의 느낌이 작년 여름 이태원에서 먹었던 <대한각>의 그것과 굉장히 비슷했다. 기회가 닿으면 오향장육을 비롯한 요리를 먹어보고 싶은데 심심함은 예상을 하고 가야될 것 같다. 위치는 코끼리 상가. 인테리어며 그릇을 포함한 전반적인 분위기가 깔끔하고 단정해 보이는 게 마음에 들었다.
진국 설렁탕
메뉴가 단촐하길래 한 번 먹어봐야 되겠다고 생각했다. 그 동네에서 반계탕 또는 설렁탕 6,000원이라면 과연 어떤 정도의 음식이 나올까 궁금하기도 했다. 음식이 나오기 전에 김치랑 깍두기를 먹어보았는데 생각보다는 멀쩡했다. 이제는 과연 ‘영계’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닭 또는 병아리가 대체 어떤 맛어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지만, 내가 시킨 반계탕에 딸려나온 반쪽짜리는 무엇보다 꽤 질겼다. 혹시 몸은 저런데 실제로는 늙은 수탉인 걸 잡아서 만들었나 싶을 정도… 황기 등등의 한약재를 넣어서 만들었다고 가게에 써 붙여 놓았으나 뽀얗지 않고 맑은 국물에서는 닭이 스쳐 지나간 정도의 느낌만 났지 한약재는 느낄 수 없었다. 그러나 밥의 상태는 양호했으니, 전체를 따져본다면 6,000원짜리 조금 비싼 구내식당 정도의 수준은 되었고, 그 정도라면 그 동네에서 굳이 불만을 가질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다음에는 설렁탕을 먹어볼까 한다. 먹고 나니 조미료미터는 적당하게 올라가는 수준이었다.
참, 이런 음식점을 가보면 반찬으로 꼭 고추와 양파를 내놓는데 내 입맛에 고추는 너무 매워서 먹을 수가 없다. 주변 사람들을 보면 다 너무 좋아하면서 먹는 것 같은데, 나만 적응을 못하고 있는 것일까?
압구정동, 산동교자관, 물만두, 볶음밥, 진국설렁탕, 반계탕
# by bluexmas | 2010/10/02 11:45 | Taste | 트랙백 | 덧글(16)
물만두는 명동[취천루]아쉽지 않아보이네요. 거긴 물만두가 7500원이라 부담가죠^^;
저 물만두는 부들부들,,,적당하다니 찾아가서 먹어보고 싶네요.
유예기간 육개월 중 벌써 1개월이 훌떡!